안녕하세요 외과전공 수의사 & 마취전공 수의사와 함께 고난도 수술이 가능한 에스동물메디컬센터 울산점 입니다.
💬
“강아지가 다리를 절뚝거려요”
“그런데 영상 검사상 문제를 발견하지 못했어요. 수술을 해야하나요?”
하지만 최근에는 작은 절개로 관절 안을 들여다보고, 동시에 치료까지 가능한 ‘관절경’이 도입되어 반려동물 관절 수술에도 새로운 시대가 열렸는데요.
이미 사람 의료의 관절 문제 진단과 치료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관절경!
오늘은 관절경이 왜 현대 수의정형외과에서 왜 주목받고 있는지, 그리고 다른 진단 방법 (MRI)와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강아지 정형외과 질환 진단 방법, 관절경이란?
관절경(관절내시경)이란 1cm 이하의 절개를 통해 카메라가 달린 기구를 관절 안으로 넣어 직접 관절 내 구조를 보는 기법입니다.마치 내시경처럼 관절 안을 고배율로 관찰하면서, 연골 파편제거, 연골다듬기, 생검 등 치료까지 함께 진행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강아지 관절경 촬영 사진 | 출처: 에스동물메디컬센터
수의정형외과에서 관절경이 중요한 이유는?
강아지 관절질환은 중대형견 뿐 아니라 소형견에서도 빈번하게 발생하는 정형외과 질환 중 하나인데요.
특히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반월판 손상), OCD(연골분리증), 관절염, MCP(내측갈고리돌기) 질환 등은 치료시기를 놓치면 비가역적 관절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어 조기진단이 중요합니다.

관절경으로 확인 가능한 질환 | 출처: 에스동물메디컬센터
과거에는 이런 병변들을 확인하기 위해 관절을 절개(Arthrotomy)해 직접 눈으로 확인하는 관절 절개술이 표준적인 방법이었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더 정밀하고 덜 침습적인 관절경(Arthroscopy)이 반려동물 정형외과 진단과 치료에 핵심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

강아지 관절경(Arthroscopy) 사진 | 출처: 에스동물메디컬센터
관절 내시경, 왜 이렇게 주목받을까요?
관절 내시경이 최신 수의정형외과에서 강아지 관절질환의 표준 진단법(Gold Standard)이 된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관절경 vs 기존 절개수술 방식 진단 정확성 비교

관절 절개술 vs 관절경 비교 논문 | 출처: Pozzi et al. (2008)
출처: Comparison of arthroscopy and arthrotomy for diagnosis of medial meniscal pathology: an ex vivo study
방법 | 민감도(%) | 특이도(%) | 정확도(%) |
관절경 + 탐침 | 96.7 | 100 | 97.8 |
관절절개술(기존 절개 수술법) | 75~78 | 89~91 | 78~80 |
위 연구내용에 따르면 기존 관절절개술에 비해 관절경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정확성을 보입니다.
✔️미세 병변도 진단 가능 (반월판 연골 파열, OCD, MCP Fragment 등)
✔️ 수술 중 파편 제거, 연골정리, 생검 가능
✔️ 절개 범위가 작아 통증 적고 회복 빠른편
✔️ 관절 절개술보다 3.8배 낮은 재수술 비율
(출처: Thieman et al (2006))
MRI와 관절경 무엇이 다른가요?
MRI와 관절경의 차이에 대해서 유념할 사항은 “어느 쪽이 더 나은” 비교가 아닌 “언제, 왜 필요한가?” 역할의 차이라는 것입니다.
관절 MRI
• 연부조직과 관절 주변 구조물 평가에 탁월
• 여러 관절에 걸친 문제나 초기 단계 병변 파악에 유용
⚠️
하지만 관절 내 연골연화증이나 연골의 갈라짐 (fissure)과 같은 작은구조물로 소형견의 관절에서는 영상으로 식별하는데 한계가 존재
관절경
• 직접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는 정확한 진단 수단
• 관절 내 치료 가능한 병변 (예. 연골 박리, Meniscal Tear(반월판 찢어짐), 내측 갈고리돌기(MCP Fragment)은 관절경을 통한 진단과 함께 치료까지 가능
강아지 관절경 시술 영상 | 출처: 에스동물메디컬센터
관절경과 MRI 비교, 역할의 차이
관절경과 MRI는 진단 목적과 환자의 상태에 따라 선택적 혹은 병행하여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항목 | 관절경 (내시경) | MRI |
진단 방식 | 관절 속을 직접 시각화 | 영상 재구성을 통한 간접 관찰 |
침습성 | 최소절개 (수술적 접근) | 비침습 영상 진단 |
진단정확도 | 매우 높음(연골, 인대, 반월상연골 병변 등) | 다관절 평가, 연부 조직 확인 가능 |
장점 | 실시간 진단 및 치료 가능 | 연부 조직 평가의 정밀도 우수 |
치료 가능 여부 | 가능 | 불가능 |
비용 | 중간 ~ 높음 | 높음 |
즉, 초기 관절 통증 평가, 다관절 질환 추정, 연부조직(근육/인대평가) 에서는 MRI가 유용할 수 있으며, 명확한 관절 내 병변 의심 (연골파편 등), 관절 내 진단과 치료가 동시에 필요할 때에는 관절경이 유용할 수 있습니다.
관절경 수술 언제 고려해야할까요?
✔️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 의심
✔️ MCP(내측관상돌기 분리), OCD(연골박리), 관절 내 유리체 등
✔️ 보행 시 통증 및 불편 호소, X-ray/MRI 상 불분명한 경우
✔️ 수술 후 재파행(다리/보행문제) 있어 병변 재확인 필요한 경우
강아지들이 위와 같은 관절 질환을 겪거나 명확한 진단이 되지 않아 치료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관절경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울산 에스 원인불명 강아지 후지파행 관절경 실제 케이스 보러가기
FAQ로 알아보는 강아지 관절경
Q1. 강아지 관절경 모든 강아지 가능한가요?
A. ❌, 병원마다 기준은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모두 가능하진 않습니다.
에스동물메디컬센터 울산점에서는 10kg 이상 중형견/대형견에 적용 가능하며, 특정 관절 부위에서는 최소 20kg 이상인 경우에 가능합니다.
Q2. 관절경 수술 후 입원은 얼마나 필요한가요?
A. 1일~2일 후 퇴원
관절 내시경은 절개부위가 작고 통증이 적어 보통 다음날 퇴원 가능합니다. 하지만 염증 정도나 치료 범위에 따라 입원기간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울산 에스동물병원 외과센터 원장이 알려주는 강아지 관절경 TIP
- MRI로 원인을 찾지 못할 때: 강아지 보행 이상, 다리 절뚝거림이 있어도 명확한 원인을 찾지 못했다면 관절경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관절경에 대한 이해와 경험을 가진 의료진의 시술: 관절경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경험을 가진 의료진이 시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외과 전공 수의사 정유정 원장 및 네덜란드 & 콜로라도 주립대학 관절경 코스 수료증 | 출처: 에스동물메디컬센터
관절경은 단순히 “절개를 덜 한다”는 기술이 아닙니다. 정확한 진단과 정밀한 치료, 빠른 회복, 재수술 방지 등 다양한 면에서 핵심 기술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에스동물메디컬센터 외과 전공 의료진과의 충분한 상담을 통해 우리 아이에게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 방법을 찾아주세요.
경험이 많은 의료진, 전문화된 의료 시스템을 통해 아이에게는 최선의 치료를, 보호자분에게는 신뢰와 믿음을 드리고자 언제나 노력하는 에스동물메디컬센터가 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