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에스 관절경 리포트] 강아지 십자인대 TPLO 수술 후 예후가 걱정된다면? 관절경으로 반월판 손상까지 확인하세요

더 섬세하게, 더 엄격하게, 더 완벽하게 치료할 수 있도록

울산 에스동물메디컬센터

안녕하세요 울산 포항 경주 지역 외과 전공 수의사마취통증의학과 전공 수의사신경 정형외과 전문진료/치료가 가능한 울산 에스동물메디컬센터 입니다.

​본원은 강아지 십자인대 TPLO 수술 전문 병원으로 TPLO 수술 + 신경차단술 + 관절경으로 강아지 십자인대 수술 예후를 높이고 있는데요.

💬

“우리 강아지가 십자인대 수술을 했는데도 다리를 계속 절어요”

십자인대 수술 후에도 우리 아이가 잘 걷지 못하고 불편해하거나 힘들어한다면 눈에 보이지 않는 또 다른 문제! 반월판 손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강아지 반월판 손상과 십자인대 단열과 관련성, 그리고 TPLO 수술 시 관절경으로 반월판 손상을 확인해야 하는 이유반월 절제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울산 에스 대형견 관절 특화 라지독 클리닉

강아지 반월판은 무엇인가요?

강아지 반월판은 무릎 관절 속, 대퇴골과 경골 사이에 위치한 C자 모양의 섬유연골입니다.

강아지 반월판 (Dog Meniscus) | 출처: dogkneeinjury.com & veteriankey.com

​관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뼈끼리 직접 부딪히지 않도록 완충 역할을 하여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해 주는 중요한 구조물입니다.

​강아지 반월판은 두 개의 반월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측 반월판(Medial Meniscus)은 움직임이 거의 없어 특히 잘 손상됩니다.

강아지 십자인대 단열되면 반월판도 손상될 수 있을까?

​무릎을 다친 강아지가 다리를 절뚝거리면 대부분 ‘십자인대 파열’을 먼저 생각하게 됩니다.

하지만 십자인대보다

더 조용히, 그리고 더 자주 같이

손상되는 조직이 있는데요.

그게 바로 반월판입니다.

​특히나 전 십자인대(CrCL)가 단열된 강아지에게 내측 반월판손상은 가장 흔히 동반되는 병변 중 하나입니다.
단순히 ‘같이 잘 발생한다’는 의미를 넘어, 십자인대와 반월판이 병리적 기전 상 함께 평가되어야 하는 이유는 해부학적 구조적 연관성이 있습니다.

  • 전 십자인대 파열 → 경골이 비정상적으로 앞쪽으로 움직임 → 무릎 관절 불안정을 가져옴
  • 경골이 앞으로 밀릴 때 내측 반월판, 특히 반월판의 꼬리뿔(Caudal Horn)이라고 불리는 부분이 반복적으로 대퇴골과 경골 사이에 끼이며 눌리게 됨
  • 그 결과 반월판이 찢어지거나 파열됨

즉, 십자인대 손상은 반월판 손상을 일으키는 기전으로 관련이 있습니다.

TPLO 수술만으로 충분하지 않은 경우는?

TPLO 수술은 경사진 경골면을 수평에 가깝게 교정해 주는 수술입니다. 이로 인해 십자인대가 단열된 후라도 경골이 앞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관절을 기능적으로 안정시키는 수술입니다.

​그런데 이 TPLO 수술은 반월판을 보호할 수는 있지만, 이미 손상된 반월판을 회복시키지는 못합니다. TPLO 수술만 시행하고 반월판손상이 남아있는 경우, 계속해서 관절 내 물리적 자극이 남아 있어 절뚝거림이나 통증이 지속됩니다.

​이러한 경우 강아지가 십자인대 수술을 진행하였는데도, “수술했는데도 다리를 계속 절어요”라는 보호자분의 걱정을 듣게 되실 수 있습니다.

TTA와 TPLO 수술법에 따른 반월판손상 추적

아래의 연구는 충남대 정재민 교수님 팀의 연구에서 TTA 수술 후 12주 차에 60%, 32주 차에 100% 반월판 손상이 발생했으며, 이 손상은 대부분 수술 중 진단되지 않았던 것들이 후속적으로 발생한 것입니다.

TPLO 수술 그룹에서는 단 1건만 손상이 발생하였습니다.

​이는 TPLO가 반월판 보호에 효과적임을 의미합니다.

즉, TPLO는 십자인대 단열 시 술 후 반월판을 보호해 줄 수 있는 효과적인 수술 방법입니다. 다만 더 나은 예후를 위해서는 수술 전 or 중에 손상된 반월판이 있는지 확인하고, 손상 시 절제술을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관절경으로 반월판손상 확인, 그리고 바로 치료까지

십자인대 수술 시 수술 부위 절개를 진행하게 되는데요. 술부 절개 후 반월판을 평가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일부 한계가 있습니다.

출처: 에스동물메디컬센터

관절경(Arthroscopy)1cm 이하의 작은 절개를 통해 카메라가 달린 기구로 관절 내부를 고배율로 관찰하고, 병변이 있다면 바로 부분 반월 절제술(Meniscectomy) 등 치료까지 가능한 수술 기법입니다.

관절경 vs 기존 절개술 반월판 손상 치료 비교

  • 절개술로는 반월판 전체 구조 확인이 제한됨
  • 절개술의 진단 정확도는 69%, 관절경+탐침 정확도 92% (Pozzi, 2008 외)
  • 반월판 손상 진단에 있어 절개술 38.8%, 관절경 진단율 48.4%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임(Plesman, 2012 외)
  • 관절경을 사용하면 수술 중 바로 반월판 손상 부위를 치료할 수 있어 재수술률을 줄일 수 있음
항목Pozzi et al. (2008, 실험적 Cadaver study)Plesman et al. (2012, 임상적 Retrospective study)Ralphs et al. (2002, Arthroscopy만 분석)
대상강아지 30쌍 Cadaver강아지 531마리 슬관절 (임상사례)강아지 100 슬관절 (≥20kg)
진단방법관절경, CrMed 및 CdMed 절개술각각 관찰 vs. 탐침(probing)관절경 vs. 절개술진단율 비교관절경으로 관찰한 반월 연골 손상
진단율 (CCR)관절경 + 탐침: 92%CrMed + 탐침: 79%CdMed + 탐침: 81%관절경 48.4%절개술 38.8%(p=0.019, OR=1.54)내측 반월 연골 손상: 58%완전 CCL 파열 시 ↑ (p=0.01)
민감도/특이도관절경 + 탐침: 민감도 80%, 특이도 95%절개술(관찰): 민감도 22%, CCR 69%수치 직접 제시되지 않음내측 반월 연골 손상은 주로 bucket-handle tear (57%)
탐침 효과관찰만 할 때보다 모든 기법에서 정확도 향상관절경 OR=8.0CrMed OR=2.1CdMed OR=2.6탐침 여부 기록 안됨 (추정적 사용)관절경에서 상세 관찰 가능성 강조됨
임상 시사점관절경 + 탐침이 가장 정확절개술 시 십자인대 파열이면 CrMed 선택, 정상 십자인대이면 CdMed 선택임상에서 관절경이 더 민감하지만 무작위 연구 아님관절경으로 측정된 반월 연골 손상률이 기존보다 더 높음

*탐침(probing)은 관절경 수술 중 사용하는 가늘고 긴 금속 막대로, 의료진이 반월판이나 연골 표면을 눌러보거나 들어 올려 병변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CrMed OR = Cranial Medial(내측 반월판 앞 부분) 발견 확률
CdMed OR = Caudal Medial(꼬리뿔) 발견 확률

강아지 반월판 절제술(Meniscectomy)이란?

반월판 절제술이란 찢어지거나 파열된 반월판의 손상 부위를 제거하는 수술입니다.

📌 반월판 손상되면 왜 제거할까요?

강아지의 반월판이 찢어진 채로 남아 있으면

통증, 절뚝거림, 장기적으로 관절염으로

악화됩니다.

또한 반월판은 혈류 공급이 제한적인 조직으로,

파열이 발생하면 자연 회복이 어렵습니다.

반월절제술, 언제 필요한가요?

아래와 같은 경우에 부분 반월 절제술이 필요합니다.

  • bucket-handle tear
  • flap tear
  • 정말 단열되거나 변연부 탈출이 있는 경우
  • 기계적 자극이 예상되는 반복 접촉 부위 병변

​강아지 연골판 손상 예시 이미지 (a=정상, c=bucket handle tear, d=flap tear) | 출처: veteriankey.com

십자인대 단열과 반월판 손상의 연관성과 치료 요약

  • 십자인대 파열 강아지 환자에게서 반월판 손상은 병리학적으로 발생하기 쉬운 구조입니다.
  • TPLO는 관절 안정화, 반월판 보호에는 효과적이지만, 반월판 자연 회복을 돕지는 못합니다.
  • 십자인대 단열의 수술에서 성공적인 예후, 장기적 예후에 있어 수술 전 반월판 손상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중요한 요인일 수 있습니다.
  • 따라서 관절경 – TPLO – 반월판 절제술 은 하나의 통합된 치료 접근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습니다.

반월판은 작지만 중요한 구조물입니다. 진단이 어렵고 증상이 모호할 때가 많지만 놓치면 십자인대 파열 수술 예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아이들의 무릎 통증이 의심되는 경우, 단순한 인대 문제로 제한하지 마시고, 관절 내부까지 정밀하게 평가해 준다면 더 나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에스동물메디컬센터 울산점 외과센터는 대형견의 정형 질환에 특화된 영상 장비와 관절경 수술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보다 정확하고 체계적인 진단 및 치료가 가능합니다.

​외과 전공 수의사 정유정 원장 및 네덜란드 & 콜로라도 주립대학 관절경 코스 수료증 | 출처: 에스동물메디컬센터

에스 관절경 리포트 이전 글 확인하기
관절경 관절질환 표준 진단법 (MRI vs 관절경 역할 차이)
대형견 팔꿈치 이형성증 FMCP (내측 갈고리 돌기 미세골절)
강아지 어깨 관절 질환 OCD(연골박리증) 관절경 진단과 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