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에스 관절경 리포트] 강아지 앞다리 파행, 단순 염좌로 보기엔 위험합니다 – 상완 이두근건 증상과 치료

“울산에스동물메디컬센터,

관절경 수술 전문 병원이

말하는 ‘이두근건 병변’

진단과 치료법”

안녕하세요 울산·포항·경주·부산 강아지 관절 질환 정밀진단 치료 동물병원 에스동물메디컬센터 울산점입니다.
강아지가 갑자기 한쪽 앞다리를 절뚝거리기 시작하면 보호자 입장에선 염좌 정도로 가볍게 생각하기 쉽습니다.

“앞다리를 절뚝거리긴 하는데… 염좌 아니에요?”

​“약 먹이니 좀 나은 것 같다가 또 안 좋아졌어요.”

​이런 이야기를 진료실에서 자주 듣습니다.

실제로 강아지의 전지(앞다리) 파행에 흔히 간과되는 원인이 있습니다. 바로 어깨 관절 안쪽에 위치한 biceps brachii tendon(상완 이두근건)입니다.

​오늘은 강아지 상완 이두근건 병변에 대해 알아보고, 치료 방법의 종류와 관절경을 이용한 치료법의 장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완이두근, 진료 케이스

아래는 강아지 앞다리 상완 이두힘줄근에 심한 염증과 석회화가 발생한 드문 케이스입니다.
​해당 강아지는 엑스레이 상에서도 병변이 명확히 보였지만, 이처럼 석회화가 일어날 정도로 병이 진행된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대부분의 환자는 X-ray상 정상처럼 보여 진단이 지연되기 쉽습니다.

따라서, 보호자가 보기엔 “멀쩡해 보인다”는 경우에도 실제로는 상완이두근 부위에 염증이나 파열, 탈구 등이 진행되고 있을 수 있습니다.

출처 : 에스동물메디컬센터

상완이두근이란?

​강아지 상완이두근이란 어깨 관절 안에 위치하여 팔의 움직임과 관절 안정성을 모두 책임지는 중요한 근육입니다.

✔️ 운동량이 많은 반려견,

✔️ 특히 뛰는 걸 좋아하거나 훈련을 많이 받은 아이에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부위입니다.

상완이두근 질환의 주요 유형과 증상

1. Bicipital tenosynovitis (이두근염)

​이 질환은 상완이두근건 주위에 염증이 생기고, 이로 인해 만성적인 통증과 점진적인 파행이 나타납니다. 초기에는 잘 걷다가도 점차 절뚝거리거나 움직이려 하지 않는 증상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2. Partial tear(이두근건 부분파열)

부분 파열은 운동이나 활동 중 통증을 유발하며, 보호자가 명확히 눈치채지 못한 채 강아지가 특정 동작을 꺼리는 모습으로 드러나기도 합니다.

3. Luxation (이두근건 탈구)

​상완이두근이 탈구되면, 어깨 관절을 굽힐 때 특유의 ‘pop’ 소리가 들릴 수 있으며, 움직일 때마다 불편함을 느끼고 통증을 호소할 수 있습니다.

4. Chronic fibrosis (만성 섬유화)

만성 유착은 힘줄 주변 조직이 굳어지면서 어깨 관절의 운동 범위가 줄고, 사용하지 않는 쪽 근육이 점차 위축되는 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처럼 상완이두근(이두근힘줄) 질환은 대부분 서서히 진행되는 만성 질환으로,약물치료(NAIDS계 진통소염제)만으로는 일시적인 호전 이후 재발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이두근건 정확한 진단, 단순 X-ray로는 어렵습니다.

​강아지의 이두근건 질환은 단순 염좌로 오해하기 쉬운 데다, X-ray(방사선 검사)만으로는 대부분 병변을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이유는 이두근건이 연부조직(근육, 힘줄 등)에 해당하기 때문에, 뼈 중심의 영상인 X-ray에서 잘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검사들이 필요합니다:

검사장점한계
신체검사간단한 1차 스크리닝병변 초기엔 민감도 낮음
초음파 (MSK US)염증, 파열, 탈구까지 확인 가능술자 경험에 따른 민감도 차이
MRI세밀한 구조 파악 가능비용 부담, 마취 필요
관절경 (Arthroscopy)직접 확인 및 치료 가능수술 술기 필요

📌

관절경은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으로,

실제 연구에서도 관절경을 통한

진단이 가장 확실하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Holman & Schaefer, 2024; von Pfeil et al., 2020

초음파상에서 bicepstendon의 찢어짐 진단

이두근건 질환, 치료 방

1. NSAIDs와 휴식

경증 염증에는 도움이 되지만 재발 위험이 높습니다. 소염진통제(NSAIDs)와 휴식은 염증이 경미한 경우에 1~3주 정도의 회복을 기대할 수 있지만, 병의 원인을 완전히 해결하지 못해 증상이 자주 재발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특히 활동량이 많은 반려견일수록 이 방법만으로는 한계가 명확합니다.

2. 관절 내 스테로이드 주사

​급성 염증이나 통증을 빠르게 가라앉히는 데에는 관절 내 스테로이드 주사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급성 통증 완화엔 효과적이지만 장기적으로는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반복적으로 사용할 경우, 오히려 관절 조직이 퇴행성 변화(약화)를 겪을 수 있어 장기적인 해결책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3. 관절경적 (Tenotomy)

염증이나 파열된 힘줄을 절제해 통증을 줄입니다. 관절경을 통해 힘줄의 병변 부위를 직접 확인한 후 절제하는 수술입니다.

수술 후 2~8주 내 회복이 가능하며, 만성적인 통증을 겪는 강아지에게 매우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단, 이두근의 일부 기능이 손실될 수 있어, 반려견의 활동성에 따라 선택이 필요합니다.

4. 힘줄 고정술 (Tenodesis)

​파열과 탈구가 함께 있을 때 추천되는 수술입니다. 힘줄이 완전히 파열되었거나 탈구된 경우, 병든 이두근건을 제거하고 다른 부위에 힘줄을 고정시키는 방법입니다.

​최근에는 생체 흡수성 앵커(bioabsorbable anchor)를 사용하는 신기술이 도입되며, 수술 후 1~5주 내 빠른 회복과 함께 기능 회복률도 매우 높아졌습니다.

​특히 경찰견, 작업견, 스포츠견처럼 격한 움직임이 필요한 반려견에게 좋은 예후를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 생체 흡수성 앵커(bioabsorbable anchor)를 사용한 힘줄고정술로

모두 5주 이내 완전 회복 사례도 보고됐습니다.

(Schuenemann et al., 2025)

관절경적 절제술 역시 장기 추적에서 좋은 예후를 보이며,

상황에 따라 아이에게 알맞은 방법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Bergenhuyzen et al., 2010)

이두근힘줄, 관절경 수술 치료

​울산 에스동물병원은 고양이 강아지 관절 수술 전문 동물병원으로, 관절경을 통한 정밀 진단과 최소침습 수술을 제공합니다.

​강아지 관절경은 관절 내 연골 손상, 퇴행성 변화, 인대 파열 등의 진단 및 치료최소절개로 할 수 있는 치료방법입니다. 내시경과 같은 작은 카메라로 관절 내부를 살피면서 방사선, CT, MRI로 진단이 불가능한 부위의 상태를 파악합니다.

관절경은 정확도가 높은 매우 유용한 검사법이지만

최신 고비용의 시술 장비를 갖추는 것은 기본이고

숙달된 진료 수의사 없이는 진단이 불가능합니다.

이두힘줄근 관절경 수술 과정

1️⃣ 2.3mm 관절경 삽입 (전방 포털) → 2️⃣ 이두근건 상태 확인 (염증, 파열, 탈구 등) → 3️⃣ 병변에 따라 치료 방향 계획 (절제(Tenotomy) 또는 고정술(Tenodesis))→ 4️⃣ 관절 내 세척 및 마무리

어깨 관절의 standard lateral portal 접근 시 이두근힘줄줄의 63%까지만 보인다고 보고되었으며, 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관절 내 시야 확보 및 조작 기술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Holman & Schaefer, 2024

울산 에스 강아지 관절경

강아지 앞다리 이두근건 질환 치료법 – 보호자를 위한 요약 정리

치료법적용 상황회복 기간단점
NSAIDs & 휴식경미한 이두근건염1~3주재발이 잦습니다.
관절 내 스테로이드 주사급성 염증 완화단기 효과반복 사용 시 퇴행성 변화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두근건 절제염증성 질환, 파열2~8주이두근 기능의 일부를 상실할 수 있습니다.
이두근건 고정술파열과 탈구가 동반된 경우1~5주 (최신 기술 기준)수술 난이도가 높고, 고정을 위해 의료진의 기술이 필요합니다.

반복되는 앞다리 파행, 꼭 전문가 진단 받으세요

✔️ 이두근건 질환은 전지 파행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일 수 있습니다.

✔️ 관절경은 높은 진단 정확도와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보존적 치료 실패 시, 이두근건 절제술 혹은 이두근건 고정술은 선택할 수 있습니다.

✔️ 고정술(Tenodesis)은 특히 작업견, 스포츠견 등에서 예후가 우수합니다.

에스동물메디컬센터 울산점 외과센터는 정형질환에 특화된영상장비와 관절경 수술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보다 정확하고 체계적인 진단 및 치료가 가능합니다.

​외과 전공 수의사 정유정 원장 / 네덜란드&콜로라도 주립대학 관절경 코스 수료증 | 출처: 에스동물메디컬센터

​앞다리 파행이 반복된다면, ‘염좌겠지’라는 생각보다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실 것을 권장합니다.

에스 관절경 리포트 이전 글 확인하기
관절경 관절질환 표준 진단법 (MRI vs 관절경 역할 차이)
대형견 팔꿈치 이형성증 FMCP (내측 갈고리 돌기 미세골절)
강아지 어깨 관절 질환 OCD(연골박리증) 관절경 진단과 치료
강아지 반월판 손상 관절경 진단과 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