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Evidence-based Medicine
근거중심의학에 기반하여 반려동물 종양을 정확히 진단하고 치료하는 에스동물암센터 입니다.
오늘은 강아지 고양이 림프종 치료에 있어 림프종 유형 분석을 통한 진단이 왜 중요한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림프종 진단과 치료에서 면역표현형 분석의 중요성
림프종(Lymphoma)은 사람과 동물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혈액암 중 하나로, 특히 강아지 림프종은 많은 점에서 사람의 비호지킨 림프종(NHL)과 유사한 특징을 보입니다. 강아지와 사람 모두 림프종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면역표현형 분석(immunophenotyping)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는 세포의 종류와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치료를 결정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강아지 림프종 면역표현형분석을 통해 저 위험군 림프종 진단하여 치료받은 사례
1. 림프종 진단에서 면역표현형 분석(Immunophenotyping) 중요성
면역표현형 분석, Immunophenotyping 이란 무엇인가?
면역표현형 분석, Immunophenotyping은 특정 세포 표면에 발현된 항원을 분석하여 세포의 유형과 상태를 결정하는 과정입니다. 림프종의 경우, 특정 세포가 B세포인지 T세포인지, 그리고 그 세부 특성은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종양의 성격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적절한 치료 방안을 선택할 수 있게 됩니다. 림프종에서 면역표현형 분석은 주로 ✓ 면역조직화학 염색(IHC), ✓ 흐름 세포계측법(Flow Cytometry), ✓ PCR 기반의 클론성 분석 등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1) 면역조직화학 염색(IHC)은 림프종 조직 내에서 특정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항체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병리학자들은 림프구가 어떤 유형의 세포로부터 발생했는지, 예를 들어 B세포인지 T세포인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는 림프종의 유형을 분류하고 예후를 예측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흐름 세포계측법(Flow Cytometry)는 FNAC(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와 함께 림프구 표지자(항원)의 발현을 분석하며, 이 방법은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검체로도 가능하고 여러 항원을 동시에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CD19, CD20, CD79a 같은 B세포 표지자나 CD3, CD4, CD8과 같은 T세포 표지자를 이용해 세포의 기원과 기능을 명확히 분석할 수 있습니다.

흐름 세포계측법(유세포분석)을 통해 강아지 림프종 유형 확인(좌) / CD3+/CD8+인 T 세포 유래로 확인(우)
강아지와 사람 림프종 진단에서의 면역표현형 분석의 역할
림프종 진단에서 B세포와 T세포를 구분하고 그 특성을 평가하는 것은 치료 계획 수립에 있어 필수적입니다. 예를 들어, B세포 림프종의 경우 CD20, CD79a와 같은 표지자의 발현을 통해 특정 림프종의 하위 유형을 분류할 수 있습니다.
반면, T세포 림프종의 경우 CD3, CD4, CD8과 같은 표지자들을 이용해 그 특성을 분석하며, 이러한 정보는 개별 환자의 치료 반응을 예측하고 적절한 치료 전략을 세우는 데 있어 중요합니다.

Flow Cytometry를 사용하여 B cell 림포마를 진단한 사례
2. 사람과 동물의 면역표현형분석의 차이

사람과 강아지 림포마의 면역표현형분석의 차이 (Immunophenotyping 차이)
Indolent로 분류되는 T zone lymphoma가 사람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 반면, 강아지의 경우 4%정도로 발생합니다. 사람의 경우 만성백혈병이 16%정도 발생하지만, 강아지의 경우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3. 사람과 동물의 림프종 치료
사람의 경우 immunophenotyping이 확립되고 각각의 type에 맞추어 약물이 개발 된지 오래되었습니다. 그 중 Rituximab이라는 약물이 B cell 유래의 림프종에서 3년 생존율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또한 Car T cell이라는 면역치료도 좋은 성적을 보이고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우리 아이들에게는 위 약물들을 쓸 수 없습니다. 동물들의 림프종 항암치료의 성적은 시간이 지나면서 오히려 떨어지는 결과들이 보고되었습니다.
하지만 동물에서도 분류체계가 갖춰지고 진단이 활성화 되면서 맞춤치료가 이루어지고 있고,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아이들에게도 좋은 약물이 출시되어 많은 아이들이 치료되기를 간절히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