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편] 강아지 피하 비만세포종, 등에 혹 수술 후 방사선 및 항암치료 사례 – 부산 양산 경상도 종양 전문 에스동물암센터

안녕하세요 강아지 고양이 암 진단부터 수술, 항암, 방사선 치료까지 종양 치료 전문 동물병원 에스동물암센터입니다.

✔️ 경상지역 2019년 반려동물 암센터 설립

✔️ 울산 부산 양산 경상 지역 유일 종양 방사선치료 가능 동물병원

✔️ 2019~2024년까지 총 4000회 동물 암 방사선치료

지난 글에서 강아지 피하 비만세포종이 피부 비만세포종과 비교하여 예후가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았는데요.

​▼ 1편 피하비만세포종에 대해 알아보기 ▼

오늘은 에스동물암센터에서 실제로 피하 비만세포종 방사선치료와 항암치료를 진행한 9살 푸들의 사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우리 강아지 등에 혹? 피하 비만세포종 진단

🐶 환자 정보 🐶

9살

실버 푸들

주 증상: 등 혹

​보호자분은 언제인가부터 생긴 혹이 점점 커지는 것 같아 인근 동물병원에 내원하셨습니다. 동물병원에서는 조금 더 지켜봐도 된다고 하였지만, 혹이 조금씩 커진다고 생각하신 보호자님께서는 해당 병원에서 종양 제거 수술과 조직 검사를 진행하셨습니다.

피하 비만세포종 진단

본 강아지 환자는 다른 병원에서 제거한 조직으로 검사한 결과, 등 혹은 ‘피하 비만세포종’으로 최종 진단되었습니다.

​해당 종양은 주변 근육을 침습하고 있었으며, 세포분열이 30 이상으로 매우 높게 관찰된 만큼, 종양의 악성도가 높고 재발 및 전이 가능성이 높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세포 분열도 30 이상, 위험도 증가

비만세포종의 위험도는 조직 검사 시 확인되는 세포분열상(Mitotic Index, MI)과 침습 정도, 다핵세포 여부에 따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상단의 1편 글에서 위험 요소를 확인해주세요)

세포 분열도가 높다는 것은 암세포가 빠르게 증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종양이 공격적으로 성장하고 전이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본 환자의 경우 위험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예후가 좋지 않을 수 있어 신중한 접근과 치료 계획이 필요했습니다.

피하 비만세포종 방사선치료 및 항암치료

푸들 강아지 환자는 조직 검사 결과 이전 수술에서 종괴가 ‘불완전 절제’ 되었음이 확인되었습니다. 또한 실제로 수술 후 이유 모를 발열과 식욕 부진 등 컨디션 저하 증상으로 에스동물암센터로 내원하여 내과적 관리를 병행하기 시작하였습니다.

피하 비만세포종 위험도 확인 후 치료

불완전 절제, 높은 세포분열상, 조직 침습

위와 같은 상황에 비만세포종 암세포가 다시 증식하여 재발하거나 다른 장기로 전이될 위험이 높은 만큼, 보호자 분과의 상담을 통해 방사선 치료와 항암 치료를 포함한 복합적 치료 계획을 수립하기로 하였습니다.

01. 모의 CT, FNA, 전이 평가

​방사선 치료 전 정확한 치료 계획을 위해 모의 CT 촬영을 진행하였습니다. 전이 평가를 위해 전신 촬영을 실시했으며, 간과 비장으로의 전이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FNA(세침흡인검사)를 함께 실시했습니다.

​다행히 간과 비장 FAN 결과 전이 소견은 없었습니다. 하지만 CT 결과에서 이전 수술 부위에서 수술 후 변화 또는 종양 잔존으로 판단될 수 있는 소견이 확인되었습니다.

강아지 비만세포종 모의 CT 촬영 / 출처: 에스동물암센터

02. 방사선 치료 및 표적 항암치료

​■ 방사선 치료 계획: 완전한 치료 반응을 위해 16회 이상의 저선량, 고 분할의 근치적 요법이 권장되었습니다. 하지만 잦은 치료에 수반되는 마취에 대한 걱정치료 예산, 그리고 항암치료 진행 예정에 따라 4회의 짧은 분할 요법을 적용하기로 하였습니다.

■ 방사선 치료 후 부작용 및 경과

아이는 경증의 피부 부작용 외에는 큰 부작용 없이 방사선 치료를 마무리하였습니다. 방사선 치료 이후에는 비만세포종에 널리 쓰이는 표적항암제로 항암치료를 진행하였으며, 추후 방사선 / 항암 관련 부작용을 모니터링할 예정입니다.

​강아지 비만세포종 방사선 치료 후 (탈모, 피부 발적) / 출처: 에스동물암센터

​앞선 포스팅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피하 비만세포종의 경우, 일반 비만세포종에 비하여 조금 더 나은 예후가 보고됩니다. 하지만 아직 완벽한 분류체계가 없고 해당 환자처럼 종양의 악성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쉽게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실제로 본원 에스동물암센터에서 동일한 종류의 종양을 진단받고 나서 수술 후 방사선 치료만 실시한 환자에서 6개월 이내 재발, 전이가 확인된 환자들도 종종 있습니다.

Precision Medicine

암 치료, 같은 암이라도 치료가 같을 수 없습니다.

​동일한 진단명 아래에서도 다양한 예후가 있을 수 있습니다. 보다 정확하고 면밀한 진단을 통하여 환자에게 적합한 치료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본원 에스동물암센터 의료진 역시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