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에스동물메디컬센터와 협진 체계를 구축하고 있는 에스동물암센터입니다.
고양이에게서 발생하는 종양 중에서도 연부조직 육종(STS)은 위치에 따라 수술이 까다롭고 재발 위험이 높아, 보호자님께서도 많은 고민을 하시게 되는 종양입니다.
이 육종은 발생하는 위치와 원인에 따라 FISS(주사부위육종)와 nFISS(주사부위 외 육종)으로 구분됩니다. 오늘은 nFISS(Non-injection-site soft tissue sarcoma)의 방사선 치료 효과에 대한 후향적 분석 결과를 토대로, 고양이 연부조직 육종에 대하여 알아보고 치료 전략과 예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양이 연부조직 육종(STS)이란? – FISS vs nFISS 비교
고양이 연부조직 육종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됩니다:
1. FISS (주사 부위 연부조직 육종)
백신, 스테로이드, 항생제 등 주사와 관련된 부위(견갑 사이, 체벽, 요추 부위 등)에 발생합니다.
염증세포 침윤, 괴사, 유사분열지수 증가 등 매우 공격적인 종양이 특징입니다.
표준 치료는 광범위 절제 + 방사선 치료가 이루어집니다.
2. nFISS (주사부위 외 연부조직 육종)
주로 사지 원위부 또는 머리 부위에서 발생합니다.
종양 발생 기전은 FISS와 다를 것으로 추정됩니다. 조직학적으로는 덜 공격적이나, 치료 기준이 정립되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는 강아지의 STS 치료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고양이 nFISS, 논문으로 본 방사선 치료 효과
아래의 논문은 2022년 고양이 육종 중 nFISS로 진단 받고, 방사선 치료를 받은 18마리의 고양이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를 담고 있습니다.

출처: journals.sagepub.com
■ 대상
조직학적으로 nFISS로 진단 수술 후 보조 방사선 치료를 받은 고양이
종양 위치: 사지 17건(94.4%), 머리 1건
■ 치료방식
모든 환자는 수술 후 잔존 미세 종양(microscopic disease)에 대해 방사선 치료를 받았습니다.
방사선 치료 프로토콜은 두 가지로 구분됩니다:
– 저분할 방사선 치료 (Hypofractionated protocol, HF) – 8마리
– 전통적 분할 방사선 치료 (Conventionally fractionated protocol, CF) – 10마리
■ 주요 평가 항목
– 무진행 생존 기간(PFI, Progression-Free Interval)
– 국소 재발률
■ 치료 결과
이 연구에 따르면, 전체 18마리 중 8마리(44.4%) 재발하였으며, 이는 강아지의 STS 수술+방사선 후 보고되는 재발률(17~21%)보다 높은 수치입니다.
■ 방사선 치료 프로토콜별 비교
구분 | 재발률 | PFI 중앙값 |
HF(저분할 방사선) 그룹 | 37.5% (3/8) | 164일 |
CF(전통적 분할 방사선) 그룹 | 50% (5/10) | 2748일 |
전체 PFI(무진행 생존기간) 중앙값: 2748일,
재발한 환자의 PFI 중앙값: 164일이었습니다.
→ 수치 차이는 있었으나, 소규모 샘플로 인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P = 0.636)
임상적 고찰 및 치료 전략
1. 기대 수명 고려한 방사선 프로토콜 선택
종양 조절 효과와 장기 부작용 위험 사이의 균형을 신중히 고려해야 합니다.
2. 수술 횟수와 예후
FISS 연구에서는 수술 횟수가 많을수록 예후 불량한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도 1차 수술 후 방사선 치료가 가장 효과적일 가능성 시사합니다.
3. 연구의 한계
후향적 설계, 소규모 샘플, 병리 평가 표준화 미흡 등 한계점을 가져 임상 적용 시 신중한 해석이 필요한 것을 시사합니다.

결론 및 보호자 행동 가이드
고양이 nFISS는 개의 STS와는 다른 임상적 경과를 보일 수 있으며, 높은 재발률을 보이는 만큼, 적극적인 국소 제어가 필요합니다.
■ 적극적인 국소치료
수술적 절제가 가장 중요하며 절제연이 불완전하거나 가까울 경우 방사선 치료 유의미한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맞춤형 프로토콜 선택
기대 수명, 마취 가능성, 부작용, 보호자 여건 등 종합적인 판단이 중요합니다.
■ 정기 검진 필수
재발률이 높기 때문에 치료 후 정기적인 영상검사와 모니터링이 중요합니다.

고양이 연부조직 육종은 단순히 종양을 제거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수술 부위, 종양 특성, 재발 가능성 등 다양한 요소가 예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치료 과정 전반에 걸쳐 정밀한 진단과 장기적인 관리 계획이 필수적입니다. nFISS처럼 재발 위험이 높은 경우, 1차 치료에서부터 수술과 방사선 치료를 포함한 적극적인 국소 제어 전략이 권장됩니다.
보호자님의 신속한 결정과 전문 의료진의 협력은 반려묘의 생존율과 삶의 질을 지키는 핵심입니다. 종양 치료는 치료 이후에도 정기적인 추적 검사와 세심한 관찰이 이어져야 합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서만 우리 아이가 더 오래, 더 건강하게 함께할 수 있습니다.
에스동물암센터의 치료 시스템
에스동물메디컬센터는 에스동물암센터와의 협진 체계를 통해 고양이 종양 치료에서도 수술, 영상진단, 방사선 치료까지 통합적 치료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 MRI, CT, 유전자 분석까지 포함한 정밀 진단
✔️ 종양 절제 경험이 풍부한 외과 의료진
✔️ 맞춤형 방사선 치료 계획 수립
✔️ 반려묘의 삶의 질을 우선하는 치료 설계
본원에서는 끝까지 우리 아이들을 위한 최적의 치료법과 삶의 질 향상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이상 강아지 고양이 종양 전문 동물병원 에스동물암센터 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