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편] 강아지 피하 비만세포종(MCT), 피부 비만세포종과 다른 점은? – 부산 양산 경상도 종양 전문 에스동물암센터

안녕하세요 강아지 고양이 암 진단부터 수술, 항암, 방사선치료까지 종양 전문 치료 동물병원 에스동물암센터 입니다.

우리 아이를 쓰다듬다가 우연히 혹을 발견할 때가 있으실 텐데요. 단순 지방종일 수 있지만, 림프종 혹은 비만세포종과 같은 종양일 수도 있기에 걱정이 되실 겁니다.

​비만세포종은 강아지에서 흔하게 발생하는 종양 중 하나로, 면역세포인 비만세포에서 기원합니다. 비만세포종 대부분은 피부 및 피하조직에서 발생하는데 그 종류에 따라 매우 공격적인 경우도 있고, 반대로 거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피하조직에 국한된 비만세포종(Subcutaneous MCT)가 피부에서 발행하는 비만세포종과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강아지 피하 비만세포종이란?

​비만세포는 히스타민, 프로스타글라딘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분비하며, 알레르기 반응이나 염증 조절 등 면역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세포입니다. 하지만 비만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종양을 형성하게 되면 비만세포종(MCT)이 됩니다.비만세포종은 강아지에서 가장 흔한 피부 종양 중 하나로 주로 피부의 진피층(dermins)이나 피하조직(subcutis)의 경계 부위에서 발생합니다.

​그러나 일부 비만 세포종은 오직 피하지방층에만 국한되어 발생하는데, 이를 피하 비만세포종(Subcutaneous MCT, sMCT)이라고 부릅니다.

​피부 비만세포종 vs 피하 비만세포종 / 출처: openveterinaryjournal

연구결과로 알아보는 피하 비만세포종 특징

​피하 비만세포종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있어 중요한 연구가 있어 함께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온타리오 수의과대학 ThompsomJJ, Perl DL, Yager JA 등 연구진이 2010년에 발표한 논문입니다. 이 연구는 2002년부터 2008년까지 총 306마리 강아지의 피하 비만세포종 사례를 대규모로 분석한 최초의 연구 중 하나로, 피하 종양의 독립적인 특성과 예후를 평가하는데 큰 의미를 가집니다.

출처: PubMed

■ 연구 개요

  • 연구대상: 총 306마리 강아지
  • 평균나이: 8.2세
  • 품종: 믹스견 72마리, 래브라도리트리버 63마리, 복서 25마리, 골든리트리버, 코커스패니얼, 퍼그 등 다양한 품종 (특정 품종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견종에서 피하 비만세포종이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줌)
  • 다발성 발생: 16마리의 강아지에서는 피하 비만세포종이 다발성으로 나타난 경우도 있음

■ 연구결과

  • 생존율: 전체 환자의 약 84%는 1500일 이상 (약 4.1년) 생존하였으며, 피부 비만세포종보다 훨씬 예후가 좋은 편입니다.
  • 재발률: 총 306마리 강아지 가운데 24마리(8%)가 국소 재발이 발생하였습니다. 하지만 24마리 중 21마리의 경우 불완전 절제 케이스였습니다. 이는 피하 비만세포종 수술에서 종양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시사합니다.
  • 전이율: 13마리(4%)에서 림프절 혹은 내부 장기로의 전이가 발생하였습니다.
  • 사망원인: 비만세포종으로 인한 사망은 27건(9%)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였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경우에 피하 비만세포종이 위험한 걸까요?

​대부분의 피하 비만세포종은 예후가 좋은 편이지만, 일부 병리학적 특성을 가진 경우 예후가 나쁜 편입니다. Thomson et al.(2010) 연구에서는 다음의 세 가지 인자가 중요하다고 이야기합니다.

01 세포분열지수 (Mitotic Index, MI)

​세포분열지수(MI)는 현미경으로 종양 세포를 관찰했을 때 일정 시야 내에서 세포가 얼마나 활발하게 분열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현미경 고배율 시야 10개 기준으로 MI가 4보다 큰 경우 사망률이 36배, 재발률이 130배, 전이율이 54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MI가 0인 경우 예후가 가장 좋았습니다.

02 종양의 침습 패턴(Infiltrative Growth Pattern)

​종양의 침습 패턴은 종양 세포가 주변 조직으로 얼마나 침투하는지를 나타냅니다. 주변 조직과의 경계가 불분명하고 종양 주변으로 퍼져나가는 침습적인 패턴을 보이는 경우, 완전 절제가 어렵고 재발률이 5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03 다핵세포(Multinucleation) 존재

​조직 검사에서 다핵세포가 관찰되는 경우, 생존율이 감소하고 재발률 및 전이 가능성이 증가합니다.

​출처: 에스동물메디컬센터 & 에스동물암센터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01 수술이 가장 중요합니다.

​비만세포종 종양이 완전절제된 경우 재발률이 단 2%에 불과합니다. 불완전 절제된 경우 약 12%가 재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종양 주변의 정상 조직을 함께 제거하여 종양세포가 남지 않도록 광범위 절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02 추가 치료는 언제 필요한가요?

​대부분 피하 비만세포종은 수술적 제거만으로 충분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 방사선 치료 혹은 항암화학요법과 같은 보조적인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종양이 완전 절제되지 않았고, 특히 세포분열지수가 높을 때

​✔️ 종양의 경계가 불분명하거나 주변 근육까지 침범한 경우

​✔️ 재발이 발생했거나 다발성 종양이 발생한 경우

✔️ 조직검사에서 다핵세포가 관찰된 경우

​출처: 에스동물메디컬센터 & 에스동물암센터

Precision Medicine

우리 아이의 암 치료, 같은 암이라도 치료가 같을 수 없습니다.

​강아지 비만세포종(MCT) 역시 유형, 위치, 등급, 침윤 범위 등에 따라 치료 방법과 예후가 크게 달라집니다. 에스동물암센터에서는 정확한 진단을 바탕으로 우리 아이에게 가장 적합한 치료 계획을 세우고자 노력합니다.

​반려동물 암 진단부터, 수술, 치료 방법까지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다면 홈페이지 혹은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문의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