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울산·포항·경주 경상지역 반려동물 종양 수술와 방사선 치료가 가능한 에스동물암센터입니다.
고양이가 다리를 절뚝이거나, 얼굴이 비대칭해 보이거나, 특정 부위를 만지면아파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단순한 근육 문제로 넘기기 쉬우시죠. 하지만 신경 자체에 발생한 종양, 즉 말초 신경초 종양(PNST)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말초 신경초 종양은 신경을 둘러싼 지지세포에서 발생하는 종양으로, 피부나 장기에서 발생하는 일반적인 종양과는 위치도 다르고 치료 방식도 다릅니다. 오늘은 강아지와 고양이 모두에게 발생할 수 있는 말초 신경초 종양에 대해, 어떤 증상으로 시작되는지, 어떻게 진단하고 치료하는지, 그리고 예후는 어떠한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강아지 고양이 말초신경초 종양(PNST)이란?
강아지 고양이 말초 신경초 종양(PNS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이란 뇌와 척수에서 뻗어 나온 말초신경(뇌신경 또는 척수신경)을 감싸는 슈반세포 또는 신경주막세포에서 유래하는 종양입니다.
이는 강아지 신경종양, 고양이 신경종양의 한 종류로 볼 수 있습니다. 강아지와 고양이 모두에게서 발생할 수 있으며, 신경 섬유를 따라 주변 조직을 파고들며 자라나기 때문에 수술만으로 완전히 제거하기 어렵고, 극심한 신경성 통증을 유발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대부분은 악성으로 진행되어 조기 발견과 적극 치료가 중요합니다.
✔️ 국소 침습성 매우 강함
✔️ 전이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 (10~28%)
✔️ 전이 시 가장 흔한 부위는 폐
조기에 발견되지 않으면 통증, 마비, 감각 이상 등 신경 관련 증상이 진행되며, 치료가 늦어질 경우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말초신경초 종양, PNST 위치별 임상 증상
PNST의 증상은 종양이 발생한 부위에 따라 달라집니다.
1. 사지 (상완신경총 등)에서 발생 시: 원인모를 파행과 근육 위축
- 점진적인 파행(절뚝거림)
- 심한 근육 위축
- 촉진 시 통증 유발
- 종괴가 촉지되기도 함
2. 삼차신경(Trigeminal nerve): 머리, 얼굴에서 발생하여 안면 비대칭과 저작근 위축
- 저작근 위축으로 음식을 잘 씹지 못하거나 침을 흘리는 증상
- 얼굴 감각 둔화
- 눈물 분비 저하 (KCS, 안구건조증)
- 호너증후군(눈꺼풀 처짐 등)
3. 척추/몸통 부위: 척추 근처 신경 뿌리에서 시작
- 척수 압박으로 인한 뒷다리 마비 또는 후지 부전마비
- 비틀거리거나 쓰러지는 보행 이상
- 배뇨/배변 기능 저하
이처럼 PNST는 위치에 따라 매우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종양이 자라면서 점점 더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강아지 고양이 말초신경초 종양 진단
PNST, 말초 신경초 종양의 진단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1. 신체 및 신경학적 검사
- 절뚝거림, 감각 이상, 근육 위축 등 정밀 평가
- 병변 신경 위치 추정
2. 영상 진단
- MRI: 연부조직 침습 및 척수 압박 여부 확인에 가장 우수
- CT: 종양 크기, 위치 및 주변 구조와의 관계 확인
- 초음파: 사지 종괴 평가 및 생검 가이드 역할
3. 세포 및 조직 검사
- 세침흡인(FNA): 간단하지만 PNST 확진은 어려움
- 조직생검: 수술 또는 부분 절제를 통해 조직 병리학적 검사를 하는 것이 유일한 확진 방법

강아지 고양이 말초신경초 종양 치료 방법은?
PNST 치료의 핵심은 국소적 컨트롤입니다. 종양의 위치와 침습 정도에 따라 다음과 같은 치료법이 결정됩니다.
1. 수술적 제거
- 사지 절단: 말초신경초 종양이 사지에 국한되어 있고 중요한 구조물을 침범하지 않았을 때 가장 흔히 권장되는 치료법입니다. → 종양을 완전히 제거하고 통증을 없앨 수 있습니다.
- 사지 보존 수술: 절단 없이 종양만 제거하는 방법으로, 재발률이 높습니다. 방사선 치료와 병행할 경우 재발까지의 기간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2. 방사선 치료
말초 신경초 종양 수술이 불가능한 위치(예: 척추, 머리)에 있거나, 수술 후 종양이 남아있는 경우에 적용됩니다. 종양의 성장을 늦추고 통증을 완화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정위 방사선 치료(SRT)는 삼차신경 종양에서 유망한 결과를 보입니다.
3. 항암 치료
현재까지 PNST에 대한 표준 항암 프로토콜은 정립되지 않았으며, 그 효과는 제한적입니다. 주로 전이성 질환이 있거나 악성도가 높은 경우에 고려될 수 있습니다.

에스동물암센터 방사선치료 사진
강아지 말초 신경초 종양 예후
말초 신경초 종양의 예후는 종양의 위치, 완전한 외과적 절제 가능 여부, 그리고 치료 옵션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치료 방법 | 생존 기간 중앙값(MST) | 특징 |
사지 절단 수술 | 24~48개월 | 종양 완전 제거 시 |
보존 수술 + 방사선 치료 | 약 2년 | 재발 억제 가능성 |
방사선 단독 (삼차신경 등) | 7~36개월 | 정위 치료 시 연장 가능 |
무치료 | 수개월 이내 | 예후 매우 불량 |
강아지 고양이 말초 신경초 종양 치료 연구 결과

강아지 말초신경초 종양 치료 후 경과에 대한 연구 / 출처: pubMed (https://pubmed.ncbi.nlm.nih.gov/38787164/)
현재 위 연구에 따르면 정위 방사선 치료를 받은 삼차신경 PNST 생존기간 중앙값은 수개월에서 36개월까지 다양하게 보고됩니다.
- 수술 및/또는 방사선 치료를 받은 6마리 중 절반(3마리)은 1년 이상의 긴 생존 기간을 보였습니다.
- 하지만 척수강을 침범한 종양을 가진 2마리는 적극적인 치료(수술 및 방사선 치료 포함)에도 불구하고 짧은 생존 기간을 보였습니다.
- 저자들은 PNST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를 포함한 근치적 치료가 생존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고 제안된 바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는 중추 신경계 침범이 없는 환자에서는 장기 생존을 가능하게 할 수 있지만, 척수강을 침범한 경우에는 예후가 매우 불량하여 그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으며, 환자의 상태와 종양의 침습 정도가 치료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PNST는 드물지만 치료하지 않을 경우 빠르게 악화되는 위험한 종양입니다. 반려동물이 다리를 절뚝이거나, 얼굴이 비대칭해 보이거나, 감각 이상을 보인다면 즉시 수의학적 평가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에스동물암센터는 부산 양산 울산 경남지역 강아지 고양이 암 특화 동물병원입니다. 반려동물 종양 정밀 진단, 수술, 항암 및 방사선 치료까지 아이의 상태에 맞는 맞춤치료를 위한 상담이 필요하시다면 홈페이지 혹은 카카오톡으로 문의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