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울산·경주·포항 경상권 안과·치과 전문 진료와 치료가 가능한 에스동물메디컬센터 울산점 안과·치과센터입니다.
📌
울산 에스동물병원 안과
✔️ 수의 안과학/치과학 박사 의료진
✔️ 미국 UC Davis Externship 수료
✔️ 사람 대학병원급 안과 최신 검사/수술 기기 보유
✔️ 누적 안과 백내장 수술 500건 이상
✔️ 노령동물 마취도 안전하게
(마취통증의학과 수의사 상주)
반려견의 눈을 마주 보다가 문득 눈동자 표면에 하얀 점을 발견하신 적이 있으신가요? 보호자분들은 처음에 ‘백내장인가?’라고 걱정하시며, 병원에 내원해 주시는데요. 아이가 노령견이라면, 표재성 점상 각막염(Superficial Punctate Keratitis, SPK)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오늘 글에서는 14살 강아지의 표재성 점상 각막염(SPK) 실제 치료 사례와 함께 SPK의 증상·원인·치료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14살 강아지 표재성 점상 각막염 치료 후기
🐶 환자 정보 🐶
품종: 토이푸들
나이: 14살
성별: 중성화 암컷
증상: 한쪽 눈에 흰색 반점이 생겼는데 점점 퍼지는 것 같아요
보호자님은 처음에는 단순한 노화 변화라고 생각하셨지만, 며칠 사이 눈의 하얀 반점이 넓어지는 듯한 모습이 보여 이상함을 느끼고 내원하셨습니다.
01 안과 검사 결과
내원 후 진행한 기초 안과·신경 검사는 모두 정상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기초 신경계 검사: 위협 반사, 동공반사, 대광반사, 눈꺼풀 반사 모두 정상
- 안압(IOP): 우측 9 / 좌측 8 mmHg (정상 범위 내에서 다소 낮음) / (정상 15~20mmHg)
- 눈물량(STT): 우측 20 / 좌측 21 mm/min / (정상 15~25mm/min)
- 형광염색검사: 음성(-)
기초 기능은 정상이었지만 세극등 검사에서 각막 표면에 다수의 흰색~회색빛 점상 반점이 선명하게 확인되었습니다. 또한 형광염색검사 음성(-) 결과로 확인되었습니다.

왼쪽: 강아지 각막 다수의 흰 반점 / 오른쪽: 형광염색 검사 음성(-) / 출처: 에스동물메디컬센터 울산점
02 강아지 눈 흰색 점, 표재성 점상 각막염 진단
세극등 검사 결과와 히스토리를 바탕으로 우측 안구 하얀 점은 표재성 점상 각막염(Superficial Punctate Keratitis, SPK)으로 진단하였습니다. 강아지 환자에서 SPK와 함께 노령견에서 자주 보이는 홍채위축(iris atrophy), 노령성 핵경화(nuclear sclerosis), 초기 백내장(incipient cataract)도 함께 발견되었습니다.

핵경화증 및 초기 백내장(사진 상 6시, 9시 방향)
03 표재성 점상 각막염 치료 경과
먼저 강아지 표재성 점상 각막염 치료를 위해 안약이 처방되었습니다.
보호자님께서 처방받은 안약을 꾸준히 점안해주신 덕분에 2개월 뒤 재진에서 세극도 검사 상 각막의 흰색 반점이 대부분 사라지고 표면 상태가 확연히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실제 아이의 눈부심·찌푸림도 크게 줄어들어 보호자님도 변화를 뚜렷하게 느끼셨습니다.

강아지 눈 흰색 점, 표재성 점상 각막염 치료 경과(좌) 치료 전, (우) 치료 후 / 출처: 에스동물메디컬센터 울산점
강아지 SPK(표재성 점상 각막염)이란?
강아지 SPK, 즉 표재성 점상 각막염은 각막의 가장 표면층(상피층)에 작은 점 형태의 염증·손상이 다수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사람에서도 흔하지만, 면역 기능 변화·눈물 환경 변화· 외부 자극 증가가 동반되는 노령견에서 더 자주 나타납니다.
강아지 SPK 주요 증상
✔️ 눈이 뿌옇거나 탁하게 보임
✔️ 눈 표면에 흰색·회색 반점이 보임
✔️ 눈물을 많이 흘림
✔️ 눈을 자주 비비거나 찡그림
✔️ 밝은 곳을 힘들어함(광선 민감성)
노령견은 안구 환경과 면역 반응이 함께 변화하므로 이러한 증상이 보이면 SPK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합니다.
강아지 표재성 점상 각막염, 왜 생길까요?
강아지 표재성 점상 각막염, SPK는 하나의 원인이 아니라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① 면역매개성(Immune-mediated) 각막염
가장 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몸의 면역체계가 각막을 반복적으로 자극해 염증이 생기는 형태입니다. 꾸준한 약물치료로 조절이 가능하며, 장기적 관리가 필요합니다.
② 바이러스 감염(CAV-1)
특히 강아지 아데노바이러스 1형(CAV-1) 감염이 SPK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예방접종이 잘 진행되어 드물지만, 과거 감염 후 합병증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③ 자외선 노출
강한 햇빛은 각막 표면을 반복적으로 자극해 점상 병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④ 미세 자극·이물질
털·먼지·모래·속눈썹 자극 등으로 각막 표면에 미세 손상이 누적됩니다.
⑤ 품종 소인
장모 닥스훈트, 셰틀랜드 쉽독 등 특정 품종에서 SPK가 더 흔하게 보고됩니다.

강아지 SPK 진단 방법
SPK는 세극등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패턴이 가장 중요한 진단 포인트이며, 다음과 같은 검사들을 함께 진행합니다.
✔️ 기초 안과·신경 반사 검사
✔️ 세극등 검사(핵심): 각막 표면의 점상 병변 확인
✔️안압 검사: 내부 염증·녹내장 여부 판단
✔️ 형광염색 검사: 상피 손상 여부 확인
✔️눈물량 검사(STT): 건성 각결막염 동반 여부 확인
✔️ 필요시 안검 구조 검사, 안과 영상검사

강아지 SPK 치료
SPK는 자연 회복이 어려워 반드시 치료가 필요합니다.
① 각막 보호 및 염증 조절
✔️ 항생제·항염 점안제
✔️ 윤활제·인공눈물
✔️ 필요시 통증 조절제
② 원인 치료(재발 방지의 핵심)
원인에 따라 치료 방향이 달라집니다.
✔️ 면역매개성 → 면역조절 점안제
각막을 공격하는 면역 반응을 조절해 재발을 줄입니다.
✔️ 속눈썹·안검 문제 → 물리적 자극 제거
비정상 속눈썹 제거, 안검 교정 치료 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자외선 노출 → 생활 환경 조정
한낮 산책을 피하고 강한 햇빛 환경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물·자극 → 털·산책 관리
눈 주변 털 정리, 먼지 많은 산책로·환경 피하기 등 생활 관리가 필수입니다.
⚠️ SPK는 2~8주 치료 후 호전되는 경우가 많지만 증상이 좋아졌다고 약을 갑자기 중단하면 다시 악화되기 쉽기 때문에 수의사 지시에 따라 단계적으로 감량하는 것이 좋습니다.

FAQ로 알아보는 강아지 눈 흰색 점 표재성 점상 각막염
Q1. 강아지 표재성 점상 각막염은 통증이 있나요?
⭕,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각막궤양처럼 극심한 통증은 아니지만, 눈부심, 찌푸림, 살짝 눈을 감는 행동 정도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Q2. 강아지 눈 흰색점, 의심할 수 있는 안과 질환은 무엇이 있나요?
👉 강아지 눈 하얀 점 혹은 뿌옇게 보인다면 대표적으로 강아지 백내장, 핵경화, 각막이영양증, 각막부종, 표재성 점상 각막염 등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울산 에스동물병원 안과 전공 수의사가 알려주는 강아지 SPK 관리
- 넥카라 필수: 눈을 긁거나 비비면 각막 손상이 악화됩니다.
- 처방 안약 시간 지켜 점안: 약물 농도 유지가 중요해 임의 감량은 재발 위험을 높입니다.
- 건조한 계절에는 인공눈물 활용: 환절기·겨울철에는 보조적 점안이 도움이 됩니다.
- 밝은 햇빛 최소화: 자외선 노출을 줄이면 재발 위험이 감소합니다.
- 증상 재발 시 즉시 내원: 눈을 잘 못 뜨거나 반점이 다시 보이면 “하루만 지켜보기”는 금물입니다.
- 노령견은 정기 안과 검진이 필수: 6개월~1년 간격의 검진은 SPK뿐 아니라 핵경화·백내장 등 노령성 안질환의 조기 발견에 매우 유용합니다.

울산 에스동물병원 안과•치과센터 강재익 수의사 & 염정은 수의사
작아 보이는 하얀 점 하나가 아이에게는 통증일 수도 있습니다. 특히 노령견에게 흔하기 때문에 눈이 뿌옇게 보이거나 아이가 눈을 찡그리는 모습이 보인다면 동물병원에서 검진을 받아주세요.
울산 에스동물메디컬센터는 안과 전공 수의사와 정밀 진료가 가능한 장비로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진행합니다. 조금이라도 이상이 느껴진다면 빠르게 내원해 정확한 검진을 받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이상 울산·부산·경주·포항 경상권 안과·치과 전문 진료와 치료가 가능한 에스동물메디컬센터 울산점 안과·치과센터였습니다.







